인간이 자신은 판단을 컨트롤 할 수 있다고 하는 [자유의지]의 존재는, 과학적으로 아직 증명이 되어 있지 않고, 아직도 논의가 있는 분야입니다.사람은 살아가는데 있어서 결단을 계속하고 있을 것입니다만, 왜 「자유의지는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하는 주장이 있는지, 멜버른 대학의 의사결정 신경과학 연구소의 대표인 스테판·보디준교수가 해설하고 있습니다.
Will I or won't I? Scientists still haven't figured out free will, but they're having fun trying
https://theconversation.com/will-i-or-wont-i-scientists-still-havent-figured-out-free-will-but-theyre-having-fun-trying-132085
1983년 미국의 심리학자 벤자민 리벳은 인간 자유의지의 존재에 대해 실험했습니다.이 실험은 피험자를 근육과 뇌의 활동을 측정하는 기계에 접속하여 '손목을 구부릴 필요가 있다'고 느꼈을 때 그대로 행동하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이 때 피험자가 '손목을 구부릴 필요가 있다'고 느낀 순간도 기록되었습니다.
리벳이 「근육의 운동」 「뇌의 활동」 「피험자의 기록 시간」을 비교했는데, 우선, 「뇌의 활동」 「피험자의 기록 시간」의 2개는 「근육의 운동」보다 전에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았습니다.이 자체에 놀라움은 없지만 이 연구결과에서 중시된 것은 '피험자의 기록시간'보다 '뇌의 활동'이 0.5초 정도 빠르다는 것이었습니다.이는 사람이 이 순간 결정했다고 인식하기 전에 이미 뇌는 행동을 결정한 것이라고 해석돼 인간에게 자유의지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으로 이어졌습니다.
현대의 과학자중에는, 뇌와는 별도로 「의식」혹은 「자기」가 존재한다고 하는 생각을 부정하는 사람이 존재합니다.그러나, 뇌가 몸에 대해서 행동의 지시를 실시하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사람의 「의도」나 「인식」이 뇌의 판단의 결과로서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결코 부자연스럽지 않다고 보디씨는 지적하고 있습니다.이 외 , 「손목 굽히기」가 정말로 결정이라고 부를 수 있는지 어떤지나, 의사 결정한 순간으로서 기록된 시간의 정확성에 의문을 던지는 연구자도 있습니다.
리벳 연구를 지지하는 연구결과도 속속 발표되고 있습니다.당시는 없었던 fMRI를 사용한 연구에서는, 2개의 선택사항에서 1개를 선택한다고 하는 의사 결정도, 본인이 인식하기 전에 뇌 스캔에 의해서 읽어낼 수 있다고 판명되어 있습니다.
이 문제는 원래 「자유의지란 무엇인가?」라는 논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이론적으로는 자유의사가 존재하는 경우, 결정의 순간까지 시간이 되돌아왔을 때에, 사람은 같은 결정을 하게 됩니다.사람이 하는 결정은 랜덤이 아닌 외적 요인에 좌우되지 않고 '본인의 의사'가 행하기 때문입니다.그러나 사람은 외적 요인에 좌우되지 않더라도 기억이나 욕망, 소원, 욕망 같은 내적 요인에 좌우됩니다.의사 결정 시 활성화 되어 있는 뉴런의 랜덤한 활동이 원인이 되어 사람의 결정이 좌우되는 경우, 사람의 '결정'은 확실히 자유롭지 않으며 뇌 활동의 결과가 됩니다.
한편 '결정'이라고 불리는 것이 결과에 도달한 순간인지, 아니면 달성할 때까지의 프로세스 전체인지도 중요합니다.결론에 도달한 순간뿐만 아니라 과정 자체를 '결정'에 포함한다면 리벳이 제시한 연구 결과도 당연하다고 해석됩니다.
리벳의 연구결과는 자유의사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지만, 이 연구결과로 많은 사람들이 자유의사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되었습니다.아직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지만 리벳이 이 연구결과를 발표했기 때문에 인지신경과학과 자발적 결정의 분야가 크게 발전했다고 보티 연구원은 밝혔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색빛 편두통 억제 효과 가능성있다 (0) | 2020.11.08 |
---|---|
노화로 근육이 쇠약해지면 어떤 건강 문제가 생길까? (0) | 2020.11.04 |
애플이 2세대 에어팟(AirPods) Pro와 3세대 에어팟(AirPods)을 개발중 (0) | 2020.10.27 |
화장지가 없던 시대에 사람들은 뭘로 엉덩이를 닦았을까? (1) | 2020.10.19 |
왜 사람은 무고한 상대에게 상처를 입히는가? (0) | 2020.10.18 |
댓글